Samsung 3D LED TV New Commercial Film

2010/04/10 7:39 PM | Technologies에 게시됨 | 댓글 3개

1,256 light emitting diode televisions used
8 months taken preparing
1 astonished city
and no graphically computerized scene

1,256개의 실제 LED TV로 연출
8개월간의 제작기간
도시 하나를 빌림
CG없이 직접 연출

The Known Universe

2010/04/04 12:57 PM | Science에 게시됨 | 댓글 남기기

Still, scientists have mapped only 3% of the actual size of the universe.

과학자들이 현재까지 시각화할 수 있는 우주의 모습은 실제크기의 3%정도이다.

New York thru a TS Lens

2010/03/28 6:57 AM | Technologies에 게시됨 | 댓글 남기기

  A TS(Tilt Shift) lens is a specially devised lens that can express the extremely shallow depth of a focus by reflecting light up and down, left and right inside the lens itself. It differs from a normal lens controlling the depth by using an aperture. The TS lens depth is too shallow so the focused area is very narrow. The scene you see through a TS lens makes you feel like you’re taking a very close look at miniatures. The video above is New York shot with a TS lens.

  TS(Tilt Shift)렌즈는 빛을 상하좌우로 반사함으로써 매우 얕은 심도를 표현할 수 있도록 고안된 렌즈이다. 일반 카메라 렌즈는 조리개를 이용해 심도를 조절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심도가 상당히 얕기 때문에 초점이 맞는 영역이 좁아 먼 거리의 풍경도 마치 미니어쳐를 가까이서 찍은것 같은 느낌이 난다. 위의 영상은 TS 렌즈로 뉴욕의 모습을 찍은 것이다.

Earth Hour 2010

2010/03/27 6:12 AM | Environment에 게시됨 | 댓글 한 개

  Earth Hour first began from Sydney, Australia. Many corporations and 2.2 millions of households turned off all of their lights in order to show their stance on the climate change. Then next year, Earth Hour became an international movement done by over 50 millions of people from 35 countries. Some world-famous landmarks such as Colosseum(Rome, IT), CN Tower(Toronto, CA), Golden Gate Bridge(San Fransico, US) and Sydney Harbour Bridge(Sydney, AU) stood in the dark as a symbol of hope against the desperate climate change.

  지구촌 전등끄기 행사는 호주 시드니에서 시작되었으며, 여러 기업들과 220만 가정이 동시에 전등을 점멸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한 자신들의 입장을 표명하였다. 1년만에 이 행사는 35개국 5000만명 이상의 사람들이 함께하는 국제적인 행사가 되었다. 로마의 콜로세움, 토론토의 CN타워, 샌프란시스코의 금문교, 시드니의 하버브릿지 등 세계적으로 유명한 랜드마크들이 악화되어가는 기후변화에 대항하는 희망의 표식으로 불을 끄고 어둠속에 서 있었다.

  On March, 2009, billions of people took part in the 3rd Earth Hour event. Officially, over 4000 cities from 88 countries switched off the lights to make a promise to support the environment. They made Earth Hour the biggest climate change movement in the world.

  2009년 3월, 수억명의 사람들이 3번째 지구촌 전등끄기 행사에 참여하였다. 공식적으로 88개국 4000개 이상의 도시에서 환경에 대한 지지의 약속으로 전등을 껐다. 지구촌 전등끄기 행사는 이제 지구에서 가장 큰 기후변화운동이 되었다.

  And now, Earth Hour 2010 will occur on 27th March, at 8:30PM local time, all around the world. This event courages you to make a sustainable future with your responsible behaviors. Many famous symbolic buildings from Europe to Asia and America will turn off the lights and stand in the dark. This is not only just pushing the switch button. This means that we will have time to ponder upon the planet we’re on.

  2010년 지구촌 전등끄기 행사는 3월 27일 지역시간으로 20시 30분에 전세계에서 행해질 예정이다. 이 행사는 우리의 책임감있는 행동으로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 가도록 장려한다. 유럽과 아시아 및 미대륙을 아우르는 많은 상징적 건축물들이 불을 끄고 어둠 속에 서 있을 것이다. 이는 단순히 스위치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그치는 것이 아닌, 우리의 지구에 대해서 깊이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고자 하는 것이다.

Welcome to Earth Without Us!

2010/03/24 5:27 PM | Science에 게시됨 | 댓글 남기기

  2 years ago, a documentary named ‘Life after People’ was broadcasted on History Channel and many viewers showed a big attention to it. ‘Life after People’. Literally, the documentary contains what will happen after the humankind disappears from the Earth. Let’s take a look at some pictures below.

  2년전, History채널에서 방영된 Life after People(인류 멸망, 그 후)라는 다큐멘터리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었다. 말 그대로, 인류가 지구 상에서 사라졌을때의 모습을 담은 다큐멘터리이다. 아래 관련 사진들을 보자.

  The upper part of the Eiffel Tower is overly bended. Seems like it’s about to crash down right away if not repaired sooner or later. This tower needs men’s constant care to maintain its form. Some strong structures like Hoover Dam will keep their forms for a long time but tiny creatures and molluscs will make them stop doing so. In short, artificially made stuff anyway needs people to keep them intact.

  에펠탑의 상층부가 심하게 휘어있다. 당장이라도 손보지 않으면 무너질 듯 하다. 에펠탑은 인류의 손길이 닿지 않으면 수십년 내에 무너져 버린다. 후버댐과 같은 견고한 구조물들은 비교적 오래 가겠지만, 작은 동물들과 연체동물들이 작동을 멈추게 할 것이다. 즉, 인공물은 인간 없이는 온전한 형태를 계속 유지할 수 없다.

  A subway station underground will be like a huge water tank. After its walls and buttresses give away at last, everything on the road will collapse and be piled on it.

  지하철 공간은 거대한 물탱크 역할을 하다가 벽과 지지물이 무너지면 그 속으로 도로의 모든 것들이 추락하고 쌓인다.

  Bridge cables will begin to be torn. A bridge could save its entire shape since construction laborers had regularly done maintenance works. Without people, any structure cannot remain in perfection.

  교량의 케이블이 끊어지기 시작한다. 인간이 주기적으로 보수작업을 했기 때문에 교량이 버틸 수 있었지만, 인간이 없다면 건축물은 제 형태를 유지할 수 없다.

  Wild animals will begin to come to places where people used to live in. Many pets can’t help but fail to survive. The number of cockroches and rats will decrease due to the lack of food wastes and cold Winter days. Even though rats might barely hang on, they can’t avoid being the prey of larger animals.

  야생 동물들이 사람들이 사라져버린 도심지로 몰려 온다. 대부분의 애완동물들은 인간이 없이는 생존할 수 없다. 바퀴벌레와 쥐는 음식 쓰레기가 줄어들고, 인간의 도움없이 추운 겨울을 보내면서 개체수가 줄어들게 된다. 쥐는 살아남겠지만 큰 동물의 먹이가 되어 결과적으로는 개체수가 감소한다.

  Oceans will become much more clear. It is highly expeceted that the number of underwater creatures will rise. Seagulls will also increase as a result.

  인류때문에 시름을 앓았던 바다도 곧 깨끗해진다. 바다오염때문에 위협받아왔던 수중생물의 개체수가 늘어날 것이고 그에 따라 갈매기들의 개체수도 늘어날 것이다.

  The main beneficiaries of the human disapperance are plants. They will cover up all the buildings and the roads that people had constructed.

  인류가 물러나면 최대 수혜자는 식물. 인류가 건설해 놓았던 건물과 도로를 모두 뒤덮어 버릴 것이다.

  The picture above is New York 1000 years after the human disappearance. It seems like this planet will show no sign of the humankind. The products from human intellectual activies of which we have been proud are nothing without us.

  위 사진은 인류가 사라진 후 1000년뒤의 뉴욕의 모습이다. 이제는 더 이상 인간의 흔적은 없어보인다. 인간이 그토록 자랑스러워했던 지적 활동의 산물은 자취를 감춘지 오래다.

WordPress.com 제공.
Entries댓글 feeds.